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docker
- powerlevel10k
- quota
- 수신실패
- 깃랩
- 컨테이너
- 설치
- Container
- 명령어
- linux
- 사용자관리
- zsh 테마
- zsh 꾸미기
- p10k
- iterm2
- 터미널 이모티콘
- sqlserver
- ubuntu
- tzdata
- CI/CD
- 도커
- 젠킨스
- timedatectl
- 리눅스
- 우분투
- 파일경로
- 터미널 꾸미기
- iterm2 이모티콘
- Publish Over SSH
- 맥북터미널
- Today
- Total
목록Hello World/Linux (3)
born2beroot

useradd -D사용자 추가 시 기본값을 보여주는 명령어그룹은 100으로 되어있고 홈디렉토리가 설정되어있습니다.INACTIVE 값은 패스워드 사용 기한이며 -1은 무기한입니다.EXPIRE 값은 특정 날짜를 지정 시 해당 날짜가 되면 계정을 자동 삭제 시킵니다./etc/skel에 들어있는 파일은 사용자 생성 시 사용자에게 복사됩니다.따라서 .bashrc, .vimrc, bash_aliases 같은 설정 파일들을 /etc/skel에 설정해두면 사용자 생성 시 번거롭게 설정 할 일이 적어집니다.사용자 기본 환경설정 해주기useradd -D -s /bin/bash사용자의 기본 셸을 bash셸로 설정해주는 명령어 vim /etc/login.defs에디터를 통해 /etc/login.defs 파일을 열어줍니다.CR..

환경 : VirtualBox, 우분투 서버 22.04.2LTS 1. 공유폴더로 설정할 폴더를 윈도우 디스크내에 생성 2. 공유폴더를 설정할 가상머신 설정 - 공유폴더 - 새 공유폴더 추가 3. 폴더 경로 : 윈도우에 생성한 폴더 경로 4. 자동마운트, 항상 사용하기 체크 5. 가상머신 내에 윈도우와 공유할 폴더 생성 ex) mkdir /winshare : 루트 디렉토리 하위에 winshare라는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명령 6. mount -t vboxsf win2 /winshare 명령어 입력 win2폴더를 루트 디렉토리 하위의 winshare라는 디렉토리에 vboxsf 타입으로 마운트한다는 뜻으로 명령어를 입력하면 해당 디렉토리에서 파일 공유가 가능 7. winshare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실제로 공유가..

https://www.virtualbox.org/wiki/Downloads 공식사이트에서 Windows hosts용 다운로드 https://ubuntu.com/download/server 우분투 서버 다운로드 기본설치 진행 01. VirtualBox 실행 02.새로만들기 03. 이름 설정 04. 메모리 2048mb, CPU 2개 05. 디스크 사이즈 30GB 06. 완료 07. 해당 가상머신 설정 08. 오디오, USB 사용해제 09. 네트워크 - Advanced - 포트포워딩 - 새포트포워딩 규칙추가 - 22(SSH), 80(HTTP), 8080(Tomcat) - 확인 10. 저장소 - 디스크 파일 선택 - 다운로드한 우분투 서버 선택 - 완료 11. 가상머신 시작 12. 방향키 또는 탭으로 이동, 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