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젠킨스
- Container
- 리눅스
- 설치
- 도커
- 터미널 꾸미기
- powerlevel10k
- tzdata
- iterm2 이모티콘
- docker
- 맥북터미널
- 사용자관리
- zsh 꾸미기
- Publish Over SSH
- 명령어
- p10k
- quota
- zsh 테마
- 컨테이너
- iterm2
- timedatectl
- ubuntu
- sqlserver
- 파일경로
- 깃랩
- 우분투
- linux
- CI/CD
- 수신실패
- 터미널 이모티콘
Archives
- Today
- Total
born2beroot
VirtualBox에 설치된 가상머신(리눅스)와 공유폴더 설정하기 본문
환경 : VirtualBox, 우분투 서버 22.04.2LTS
1. 공유폴더로 설정할 폴더를 윈도우 디스크내에 생성
2. 공유폴더를 설정할 가상머신 설정 - 공유폴더 - 새 공유폴더 추가
3. 폴더 경로 : 윈도우에 생성한 폴더 경로
4. 자동마운트, 항상 사용하기 체크
5. 가상머신 내에 윈도우와 공유할 폴더 생성
ex) mkdir /winshare : 루트 디렉토리 하위에 winshare라는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명령
6. mount -t vboxsf win2 /winshare 명령어 입력
win2폴더를 루트 디렉토리 하위의 winshare라는 디렉토리에 vboxsf 타입으로 마운트한다는 뜻으로
명령어를 입력하면 해당 디렉토리에서 파일 공유가 가능
7. winshare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실제로 공유가 가능한지 테스트
ex) echo "hello" > test.txt 명령어 입력
8. 윈도우에 생성한 공유폴더로 이동하여 가상머신에서 생성한 test.txt가 생성됐는지 확인
'Hello World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사용자 환경 설정과 디스크 할당량 제한 (0) | 2023.05.05 |
---|---|
VirtualBox에 Ubuntu 우분투 리눅스 서버 설치 (0) | 2023.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