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rn2beroot

리눅스 사용자 환경 설정과 디스크 할당량 제한 본문

Hello World/Linux

리눅스 사용자 환경 설정과 디스크 할당량 제한

ifelse 2023. 5. 5. 13:30

useradd -D

사용자 추가 시 기본값을 보여주는 명령어
그룹은 100으로 되어있고 홈디렉토리가 설정되어있습니다.
INACTIVE 값은 패스워드 사용 기한이며 -1은 무기한입니다.
EXPIRE 값은 특정 날짜를 지정 시 해당 날짜가 되면 계정을 자동 삭제 시킵니다.
/etc/skel에 들어있는 파일은 사용자 생성 시 사용자에게 복사됩니다.
따라서 .bashrc, .vimrc, bash_aliases 같은 설정 파일들을 /etc/skel에 설정해두면 사용자 생성 시 번거롭게 설정 할 일이 적어집니다.

사용자 기본 환경설정 해주기

useradd -D -s /bin/bash

사용자의 기본 셸을 bash셸로 설정해주는 명령어
 

vim /etc/login.defs

에디터를 통해 /etc/login.defs 파일을 열어줍니다.
CREATE_HOME yes 내용을 추가합니다.
그러면 사용자 생성 시 기본적으로 홈 디렉토리를 생성해줍니다.
 

사용자 디스크 할당량 제한

quota 명령어를 사용하여 디스크 할당량 제한을 해보겠습니다.
버전마다 디스크 할당량 제한 방법이 다르므로 주의해서 진행해야 합니다.

vim /etc/fstab

에디터로 /etc/fstab 를 열고 /home 디렉토리에 usrquota 내용을 추가합니다.

mount -o remount /home
quotaoff -avug
quotacheck -avugm
repquota -a
quotaon -avug

홈디렉토리를 다시 마운트하고 quota 기능을 비활성화 했다가 다시 활성화 시켜줍니다.

 

guest1 의 디스크 할당량을 제한하기 위해 edquota 명령어를 입력해줍니다.

 
나노에디터로 guest1의 디스크 할당량 제한 설정을 해줍니다.
 
 

edquota -p guest1 guest{2..3}

동일한 할당량 제한을 주고 싶다면 -p 옵션으로 guest2와 guest3에게 guest1의 설정을 복사합니다.
 
 

repquota -a

위 명령어를 통해 quota 설정을 볼 수 있으며 guest1, 2, 3가 용량제한이 되어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guest1 계정으로 접속하여 해당 할당량을 초과하는 크기의 파일을 생성하려고 하면 할당량 초과 메세지와 함께 거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