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rn2beroot

oh-my-zsh 설치 및 powerlevel10k 테마 설치하고 터미널 꾸미기🐳 본문

etc

oh-my-zsh 설치 및 powerlevel10k 테마 설치하고 터미널 꾸미기🐳

ifelse 2023. 5. 6. 19:28

 

🔷 패키지 관리자 homebrew 설치

터미널에 아래 첫번째 명령어를 입력해서 homebrew를 설치한다.

홈브류 설치 후 git도 홈브류를 이용해 설치해준다.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brew install git

 

정상적으로 설치된 모습

🔷 zsh 설치

brew install zsh

 

🔷 기본 쉘 변경

chsh -s /bin/zsh

zsh로 기본쉘을 변경해주는 명령어

 

 

🔷 oh-my-zsh 설치

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ohmyzsh/ohmyzsh/master/tools/install.sh)"

 

🔷 powerlevel10k 설치

p10k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폰트 설정부터 해줘야 한다.

https://github.com/romkatv/powerlevel10k#meslo-nerd-font-patched-for-powerlevel10k

 

GitHub - romkatv/powerlevel10k: A Zsh theme

A Zsh theme. Contribute to romkatv/powerlevel10k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ttf파일 4개를 전부 설치하고 아래 명령어로 p10k를 다운로드한다.

git clone --depth=1 https://github.com/romkatv/powerlevel10k.git

 

🔷 zshrc 파일 수정

zsh테마를 p10k로 변경하기 위해 18행의 ZSH_THEME 값을 아래와 같이 변경한다.

vim ~/.zshrc

ZSH_THEME="powerlevel10k/powerlevel10k"

 

 

저장 후 적용을 위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source ~/.zshrc

 

🔷 powerlevel10k 설정

폰트 적용이 정삭적으로 됐다면 아래와 같이 아이콘들이 정상적으로 나타난다.

 

⬇️ 프롬프트 스타일 설정

클래식으로 설정했다.

 

⬇️ 처음에 아스키코드로 설정했다가 이모지가 제대로 안나와서 유니코드로 설정했다.

 

⬇️ 프롬프트 색상 2번 선택

 

⬇️ 시간 표시 2번 선택

 

⬇️ 분리기호 2번 선택

 

⬇️ 헤드부분 1번 선택

 

⬇️ 테일부분 1번 선택

 

⬇️ 유니코드 줄바꿈은 개인적으로 이상해서 1번 선택

 

⬇️ 1번 줄간격 보고 있으면 답답해진다... 2번 선택

 

⬇️ 아이콘 2번 선택

 

⬇️ 1번 선택

 

⬇️ n선택

 

⬇️ 1번 선택

 

⬇️ 다른 설정으로 바꾸고 싶다면 r로 다시 시작한다. y를 누르면 설정이 끝난다.

나중에 설정창을 다시 열고 싶으면 터미널에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p10k configure

 

⬇️ 기본 설정이 완료된 모습

 

🔷 프롬프트에 이모지 추가

vim 에디터로 홈 디렉토리의.p10k.zsh 를 수정한다.

.p10k.zsh에 아래 내용을 스크린샷처럼 작성해준다.

이모지는 원하는 이모지로 작성하면된다.

POWER_LEVEL9K_LEFT_PROMPT_ELEMENTS값에 user을 작성해준다.

3번째 명령어로 적용시켜준다.

 

vim ~/.p10k.zsh

typeset -g POWERLEVEL9K_USER_ICON="🦄"

source ~/.zshrc

 

⬇️ 적용 모습! 사용자명과 이모지가 나타났다.

 

🔷 iterm2 상태바 표시

 

⬇️커맨드 + , 키나 설정창으로 들어간다.

 

⬇️ 우선 상태바를 상단에 설정할지 하단에 설정할지 Appearance - Status bar location 에서 고른다.

 

⬇️ Profiles - Session 하단 부분을 보면 Status bar enabled로 들어간다.

 

⬇️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여 Active Components 에 끌어다 놓고 적용하면 설정된다.

 

⬇️ Status bar 까지 설정이 끝난 모습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m 에디터 기본 사용법  (0) 2023.05.07